건축용어
지리정보시스템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2018-03-28 18:00:30 | soarang

[정의]
지리적 자료를 수집, 관리, 분석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으로 방대한 지형공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목적에 따라 다양한 결과물을 생산·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용어설명]
지리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는 공간자료(spatial data)와 속성자료로 이루어져 있는데, 공간자료란 지형요소에 대한 유형, 위치, 크기, 다른 지형요소와의 공간적 위상관계 등을 말하며, 벡터자료(vector data)와 레스터자료(raster data)로 구분된다. 속성자료는 지형요소의 속성에 대한 자료로서 수학적 의미를 포함하는 정량적 자료와 지도명, 주기, 라벨 등 대상물 설명에 필요한 정성적 자료가 있다.
과거 땅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전통적 수단이었던 종이지도는 자료범위의 한계가 있었고, 수시로 변화하는 정보를 적용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통신설비 등의 발달에 따라 방대하고 다양한 공간 자료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이 등장하게 되었다.
1960년대에 등장한 GIS는 컴퓨터 관련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성장하여 1990년대 이후 우리사회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1990년대 공간 데이터의 표준화 추세를 거쳐 인터넷의 등장과 확산으로 GIS활용이 더욱 고차원화되고 범용화되고 있다. 현재 GIS는 국토계획, 도시계획, 환경관리, 시설물관리, 교통 물류분야, 민간사업분야의 다양한 분석 등 공공과 민간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미국 국방부에서 개발한 위치결정시스템으로 지구 주변궤도상의 24개의 위성 중에 3~4개의 위성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위치정보와 시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 GPS는 사용자에게 3차원의 위치, 속도, 시각정보를 제공하므로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는데 특히, 자동차, 선박 및 항공기의 항법과 측량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관련용어 : GPS, 수치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