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사설
-
[이달의 건축자재] 공간의 완성, 깔끔한 마감을 위한 ‘몰딩’
| 2018-10-25
▲ 깔끔한 공간의 완성을 결정하는 건축자재, 몰딩 (사진=게티이미지) 벽이 천장, 바닥과 만나는 이음매 부분을 감추기 위해 사용하는 마감재를 ‘몰딩’이라고 한다. 공간을 이루는 면끼리 만나는 이음매 부분을 띠모양의 마감재로 감추는 것이다. 한때 국내 아파트 시장에서는 체리색 몰딩이 압도적으로 많...
-
[계륵] 상층부의 미학
| 2018-07-17
※ 본 이미지는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이미지이며, 뉴스 내용과 무관합니다. 부산에 광안대교, 부산항대교, 남항대교가 길게 이어지면서 차창을 통해 부산의 풍광을 볼 일이 자주 생긴다. 시내에서 걷거나 차도로 다닐 때와는 또 다른 관점에서 부산의 건축을 보게 된다. 기능과 효율에 중점을 둔 많은 ...
-
[건축의 눈] 2018 부산다운건축상 톺아보기…③ 해운대 인문학도서관
| 2018-11-15
부산다운건축상은 부산의 건축물 중 그 해의 우수한 건축물을 선정하여 시상하는 건축상이다. 그간 부산의 건축을 대표하고 지역의 가치를 잘 살려낸 많은 건축물들이 수상했다. 이들을 중심으로 부산의 도시건축을 소개하는 시민투어가 활성화되면서 지역 건축문화를 알리는 데 큰 성과를 거두는 등 상징적인 가치를 반...
-
[건축의 눈] 2018 부산다운건축상 톺아보기…② 도시민박촌 이바구캠프
| 2018-10-12
부산다운건축상은 부산의 건축물 중 그 해의 우수한 건축물을 선정하여 시상하는 건축상이다. 그간 부산의 건축을 대표하고 지역의 가치를 잘 살려낸 많은 건축물들이 수상했다. 이들을 중심으로 부산의 도시건축을 소개하는 시민투어가 활성화되면서 지역 건축문화를 알리는 데 큰 성과를 거두는 등 상징적인 가치를 반...
-
[건축 리포트] 건축적 우수성이 드러나는 미래 캠퍼스, ECC
| 2018-09-21
▲ Ewha Campus Complex 전경 (사진=플리커) 이화여자대학교의 이화캠퍼스복합단지(Ewha Campus Complex, ECC)가 준공 10주년을 맞았다. ECC는 2008년 봉헌식을 통해 문을 열었다. 2002년 캠퍼스 개발 계획 당시 자연 및 건물 보존과 공간 확충을 고민하던 중 당시 운동장이었던 부지에 지하 캠퍼스를 구...
-
[건축물의 얼굴, 외장재 시리즈] 우리 생활에서 가장 자주 만나는 자재, 금속 & 유리
| 2018-07-25
건축물의 첫 인상을 결정하는 ‘외장재’는 시공과 조건 등에 따라 다양한 자재를 활용한다. 보편적으로 아파트의 경우 콘크리트 구체에 외벽을 보호하는 페인트 도장으로 마감한다. 고층 빌딩의 경우 석재, 금속패널, 유리 등으로 마감되며 소규모 주택이나 상가의 경우 벽돌로 마감하기도 한다. 건물의 규모, 특성 등에 ...
-
[건축, 클릭 이슈!] 미세먼지 정화를 위한 다양한 기술의 융합, 미세먼지 바리케이드
| 2018-08-20
※ 본 이미지는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이미지이며, 뉴스 내용과 무관합니다.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범부처 미세먼지 연구개발(R&D) 협의체가 실시한 공모에서 국민들이 제안한 미세먼지 연구개발(R&D) 아이디어가 정부 지원을 받아 내년부터 상용된다. 토양 필터와 식물 등 다양한 기술이...
-
[사설] 협회의 새 조직, 특별위원회에 주목하자 - 건축사신문
| 2018-06-11
※ 본 이미지는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 이미지이며, 뉴스 내용과 무관합니다. 선거가 끝나고 나면 새로운 기구, 조직이 갑자기 생겨나곤 한다. 주로 ‘새 술은 새 부대에’라는 명목으로 신임회장단에서 무언가 신선한 각오를 보여주기 위함이 일반적인 이유다. 또는 선거에 기여한 몇몇 위원들을 ...
-
[이달의 건축자재]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자재, 익스펜디드 메탈
| 2018-08-20
▲ 익스펜디드 메탈(Expanded Metal) 최근 노출형 인테리어가 트렌드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알루미늄 차광망을 포함한 다양한 내외장재 시장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이 중 강한 충격에도 변형이 적고 무게가 가벼워 콘크리트 접착이 쉬운 장점이 있는 익스펜디드 메탈이 각광...
-
[건축 리포트] 찰나의 순간을 영원 속에 담아두는 물방울의 향연, 제주도립 김창열미술관
| 2018-08-28
그에게 물방울을 그리는 것은 모든 것을 무(無)로 돌려보내기 위한 행위다. 미술관도 그의 작품에 내재되어있는 의미처럼 하나의 물방울이 되어 인위를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형상을 하고 있다. 하늘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회(回)를 형상화하고 있는 건축물의 모습이 작가의 작품세계와도 이어진다.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