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8(토)
  • 서울  21℃
  • 인천  18℃
  • 대전  21℃
  • 광주  20℃
  • 대구  21℃
  • 울산  20℃
  • 부산  21℃
  • 제주  18℃

칼럼사설

리스트 정렬방식
검색
  • 올해의 한옥대상에 ‘천연동 한옥’…한옥 현대화 구현 (2017.10.16 기사)
    | 2018-01-19

     국토교통부가 올해의 한옥대상에 서울 ‘천연동 한옥’을 선정했다.‘한옥의 현대화’를 주제로 열린 제7회 대한민국 한옥공모전에서 기존 한옥의 가치와 시간의 흔적을 잘 살리면서도 현대적인 주거 요구가 잘 반영된 ‘천연동 한옥’(준공부문)이 올해의 한옥대상에 선정됐다.  올해의 한옥대상에 선정된 ‘...

  • 영화와 함께 따듯한 겨울나기, 건축영화 추천 ‘BEST 3’
    | 2018-01-02

    BEST 1. 세계적인 건축가, 그리고 아버지 ‘루이스 칸’을 이해하기 위해 떠난 여행   나의 설계자-아들의 여행 (My Architect: A Son's Journey , 2003)나다니엘 칸(Nathaniel Kahn) 감독  ▲ 영화 <나의 설계자-아들의 여행> 캡처 세계적인 건축가 루이스 칸의 가정사는 평범하지 ...

  • 3채의 한옥으로 본 ‘한옥 현대화’
    | 2017-12-19

     21세기형 한옥의 모습은 어떨까? 최근 한국의 전통 주거양식인 한옥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져 한옥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현대화하려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처마의 우아한 곡선과 온돌의 과학, 소통의 공간인 대청. 한옥의 가치와 미는 옛부터 익히 들어 알고 있지만, 현대사회에서 어떻게 하면 삶의 공간으로...

  • 신라 교량건축 기술의 정수「경주 월정교」, 문루(門樓)
    | 2017-12-05

     * 문루(門樓): 아래에는 출입을 위한 문(門)을 내고, 위에는 누(樓)를 지어 사방을 두루 살피는 기능을 가진 건물   월정교는『삼국사기』경덕왕조(條)의 ‘19년…2월…궁의 남쪽 문천상에 춘양월정 두 다리를 놓았다’(十九年…二月…宮南蚊川之上起春陽月淨二橋)라는 기록에서 전하는 교량으로, 신라 천 년 ...

  • 제주 지역 건축의 특색이 담긴 「제주향교 대성전」
    | 2017-12-05

      제주향교는 1394년(태조 3) 제주 관덕정(보물 제322호)에서 동쪽으로 약 400m 떨어진 곳에서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5차례 자리를 옮겨 1827년(순조 27) 현 위치에 들어섰다.   제주향교는 애초 경사지형에 맞추어 ‘홍살문-외삼문-명륜당-대성전-계성사’로 이어져, 강학공간(명륜당)이 앞...

  • 항일독립 문화유산 「보성 안규홍․박제현 가옥」 등 9건 문화재 등록
    | 2017-12-05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은 「보성 안규홍‧박제현 가옥」 항일독립 문화유산 1건과 근대문화유산으로서 가치가 있는 「곡성 성륜사 안심당‧육화당」, 「원주 기독교 의료 선교 사택」, 「원주 육민관고등학교 창육관」, 「원주 제1야전군사령부 구 청사」, 「태안 동문리 근대한옥」,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제대 및 세례대」 6건...

  • 한국의 11번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남한산성'
    | 2017-12-05

     □ 남한산성은? 남한산성은 문화재보호법이 제정·시행되면서 1963년 1월 사적 제57호로 지정됐다. 남한산성은 크게 성곽을 중심으로 하는 산성과 행궁 구역으로 나뉘는데 행궁은 임금이 임시로 거주하는 왕궁이란 뜻이다. 성곽의 길이는 총 11.76km로 본성이 9.5km, ...

  • [서울시설공단] 청계천에 조선시대 흔적이?!
    | 2017-11-30

     높은 빌딩으로 둘러싸인 서울 도심 속에서 자연과 어우러진 휴게 공간으로 사랑받고 있는 ‘청계천’. 청계천은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생태 공간이며, 동시에 소중한 문화 유적들이 남아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그중 ‘광통교’는 도성 제일의 다리였으며, 태조 이성계의 셋째 아들 이방원과 신덕왕후 강씨 사이의 ...

  • [해외문화홍보원] 자연과 인간,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곳, 순천
    | 2017-11-27

    ▲ 용산 전망대에서 내려다 본 순천만 풍경.  "[그 곳에는] 명산물이...... 뭐 별로 없지요?" "별 게 없지요. 그러면서도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다는 건 좀 이상스럽거든요."김승옥의 단편소설 '무진기행'에 등장하는 가상의 도시 '무진'은 이렇게 묘사된다. 작가의 고향이자 소설 속 '무진'의 실제 모델...

  • [해외문화홍보원] 안동에서 만나는 한국의 정신문화
    | 2017-11-27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 안동’안동에 오는 방문객들을 가장 먼저 맞는 동인문(東仁門)과 서의문(西義門)에 적힌 글이다. 실제로 안동에는 조선(1392-1910) 이후 한국 정신문화의 중심인 유교 관련 유적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안동의 유교 유적으로 먼저 서원을 들 수 있다. 서원(書院)은 조선 중기 이후 설립된 사설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