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사설
-
영화와 함께 따듯한 겨울나기, 건축영화 추천 ‘BEST 3’
| 2018-01-02
BEST 1. 세계적인 건축가, 그리고 아버지 ‘루이스 칸’을 이해하기 위해 떠난 여행 나의 설계자-아들의 여행 (My Architect: A Son's Journey , 2003)나다니엘 칸(Nathaniel Kahn) 감독 ▲ 영화 <나의 설계자-아들의 여행> 캡처 세계적인 건축가 루이스 칸의 가정사는 평범하지 ...
-
건축기술과 디자인의 합작, 제로에너지 공동주택
| 2018-02-12
“냉난방 장치를 가동하지 않고도 여름에 26도, 겨울에 20도를 유지하는 집이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영하의 추위가 이어지면서 난방비 부담이 커져가는 요즘, 놀랍고도 반가운 얘기가 아닐 수 없다. 서울 노원구 제로에너지 주택 ‘EZ하우스’는 에너지 자급자족을 목표로 건설된 전국 최초 공...
-
세계 속 ‘랜드마크’ 건축물!– 스페인 편
| 2018-01-31
‘랜드마크’는 어떠한 지역을 대표하는 하나의 상징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으며, 많은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랜드마크’가 그 지역에 미치는 영향이나 현상을 ‘빌바오 효과(Bilbao Effect)’라 일컫는다. 빌바오는 1980년대 당시 스페인의 쇠락하던 공업 도시였는...
-
[역사속 오늘] 1898년 명동성당 6년만에 준공
| 2014-06-18
6년만에 준공된 명동성당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국내에서는 좀처럼 보기 드문 붉은 벽돌을 사용한 고딕양식의 건물, 더구나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높은 곳에 있어 사람들은 ‘언덕 위의 뾰족집’이라 불렀다. ... 출처 : 경기일보 [칼럼], 2013.05.28 오후 11:50, 경기일보...
-
3채의 한옥으로 본 ‘한옥 현대화’
| 2017-12-19
21세기형 한옥의 모습은 어떨까? 최근 한국의 전통 주거양식인 한옥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져 한옥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현대화하려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처마의 우아한 곡선과 온돌의 과학, 소통의 공간인 대청. 한옥의 가치와 미는 옛부터 익히 들어 알고 있지만, 현대사회에서 어떻게 하면 삶의 공간으로...
-
세계 속 ‘랜드마크’ 건축물! - 프랑스 편
| 2018-02-22
건물 내부에 있어야 할 모든 지지구조와 파이프들이 건물 외부로 나와 있다면 어떤 모습일까? 감히 상상하기도 힘든 모습을 예술과 낭만의 도시, 프랑스 파리에 있는 퐁피두 센터로 가면 두 눈 앞에서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다. - 파리 퐁피두 센터 Centre Georges-Pompidou by Oh Paris (CC BY 2.0)...
-
세계 건축 명문-AA스쿨 2편(렘 콜하스 & 데이비드 치퍼필드)
| 2018-06-05
6월은 푸른 녹음이 짙어지는 여름의 초입이다. 보다 더 시원한 여름 나기를 위해 현대인들은 도심 속 박물관, 미술관 등 문화 예술 공간으로 발걸음을 옮긴다. 방학과 휴가철을 맞아 지친 몸과 뇌를 회복시키는 데 문화 힐링 피서지로 제격이기 때문이다. 아키타임즈 웹진 6월호에서는 세계 명문 건축학교 출신 건...
-
[독자기고] 화약고와 같은 고층 아파트 화재
| 2014-06-18
주상복합아파트, 신개발지, 재개발지의 고층건축물의 대피,피난 공간에 관한 사설입니다. 건교부에서선 아파트베란다를 일부 양성화하여 대피공간으로 2제곱미터의 공간으로 대피공간을 두면 내력벽의 구조적 문제가 없다면 공간 활용에 적극적이지만 ... 출처 : 소방방재신문 [칼럼], 2013.05.2...
-
[시론/5월 25일] 하버드대의 작은 날갯짓
| 2014-06-18
토론회장인 샌더스 강당을 통해 일어나는 미래 지향적인 작은 변화들에 대한 사설입니다. 토론회장인 샌더스 강당은 마이클 샌덜 교수가 '정의란 무엇인가' 강의를 했던 장소이기도 하다. 케네디스쿨 주관의 포럼에는 각 국 대통령과 총리, 세계적 기업의 CEO들이 참석해 특별 연설을 진행하기도 한다. ...&n...
-
[서울시설공단] 청계천에 조선시대 흔적이?!
| 2017-11-30
높은 빌딩으로 둘러싸인 서울 도심 속에서 자연과 어우러진 휴게 공간으로 사랑받고 있는 ‘청계천’. 청계천은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생태 공간이며, 동시에 소중한 문화 유적들이 남아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그중 ‘광통교’는 도성 제일의 다리였으며, 태조 이성계의 셋째 아들 이방원과 신덕왕후 강씨 사이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