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뉴스
-
‘위기의 건설산업’…근로시간 단축에 건설사ㆍ근로자 ‘치킨게임’
건설경제신문 | 2018-09-10
주52시간 근무제가 건설현장에 도입되며 총 공사비가 최대 14.5%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동시에 건설근로자 임금은 10% 가까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자유한국당 신보라(환경노동위원회)ㆍ이은권(국토교통위원회)ㆍ추경호(기획재정위원회) 의원이 10일 오전 국회의원회관에서 주최한 ‘근로시간 단축 대응방...
-
평택시의회 김승겸 의원, "대형 도시개발 사업 재점검"지적
기호일보 | 2018-09-10
평택시가 대형 도시개발 사업에 대해 제대로 추진되고 있는지 여부를 꼼꼼히 점검해야 한다는 지적과 함께 사업방식과 사업 투명성 제고 등을 위한 제안이 나왔다.
-
삼척시, 태양에너지 설비 기준 등 도시계획 조례 개정 추진
뉴시스 | 2018-09-10
강원 삼척시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의 법령 위임 자치법규인 ‘삼척시 도시계획 조례’에 대해 전부개정을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
행안부, 공용화 설계 확산 방안 찾는다
뉴시스 | 2018-09-10
행정안전부는 공용화 설계(성별·연령·국적·문화적배경·장애의 유무에도 상관없이 누구나 손쉽게 쓸 수 있는 제품이나 사용 환경을 만드는 디자인, 유니버설디자인이라고도 함) 확산 방안을 찾는다고 10일 밝혔다.
-
공공임대주택 미래는?…새로운 설계 관심
머니투데이 | 2018-09-10
그동안 임대주택이라고 하면 가난한 사람들이 사는 집이라는 편견을 지우지 못했습니다. 정부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하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현장에 적용한다는 계획입니다. 문정우 기자입니다.
-
[산으로 간 건물안전법]"감리는 구조기술사가 해야" VS "인력 한계...건축사로 충분"
서울경제 | 2018-09-10
정부가 경주 지진 이후 건축물의 구조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한 대책 가운데 하나가 필로티 건축물에 대한 설계 및 감리 강화이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는 ‘필로티 건축물에 대한 건축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을 지난 7월 말 입법예고 했다. 3층 이상 필로티 건물을 신축할 경우 건축 설계·공사감리 때 전문기술...
-
'지역건축안전센터' 설립도 지지부진
서울경제 | 2018-09-10
지난 2014년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사고 이후 도입이 추진됐던 ‘지역건축안전센터’가 지지부진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건축안전센터는 지방자치단체가 전문성을 갖춘 건축사·구조기술사 등을 채용해 설계도서, 구조계산서, 사용승인 점검 등 건축물의 안전과 관련된 기술적인 사항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이...
-
건축물 화재 안전 강화를 위한 입법 토론회
뉴시스 | 2018-09-10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열린 '건축물 화재 안전강화를 위한 입법 토론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임종성 의원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
울산시건축상에 53개 작품 공모
파이낸셜뉴스 | 2018-09-10
울산시는 ‘제8회 울산광역시건축상’ 공모 작품 접수 마감 결과, 주거, 공공, 일반 3개 분야에 53개 작품이 접수됐다고 10일 밝혔다. 작품접수는 지난 6월 18일부터 8월 31일까지 이뤄졌다.
-
‘유치원 붕괴’ 원인 감리업체 지정은 누가?…건축주의 ‘셀프 감리’
동아일보 | 2018-09-10
서울 동작구 상도유치원 붕괴의 원인이 된 다세대주택 공사의 감리업체는 건축주가 지정했다. 사실상 ‘셀프 감리’가 이뤄진 것이다. 지난해 12월 충북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올 1월 경남 밀양 세종병원 화재 참사 때처럼 부실한 안전을 지적하고 고쳐야 할 감리 시스템이 이번에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현행 건축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