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4(화)
  • 서울  27℃
  • 인천  24℃
  • 대전  29℃
  • 광주  28℃
  • 대구  27℃
  • 울산  27℃
  • 부산  23℃
  • 제주  23℃

언론뉴스

리스트 정렬방식
검색
  • '골목건축가'가 만든다…서울로 7017 보행길 7개 조성
    news1 | 2018-09-17

    공중보행로 서울로7017에서 주변 도시재생지역에 이르는 보행길 7개가 생긴다. 서울시는 서계·중림·회현·후암·서소문동으로 이어지는 서울로7017 보행길 7개를 조성한다고 17일 밝혔다.서울로7107 설계자인 네덜란드 건축가 비니마스의 기본구상안 중 타당성 검증을 통해 7개 연결길 총 7.6km를 우선사업 대상지로 ...

  • [안전특집-건축구조] 건축물 구조 및 내진설계 강화 시급
    국토일보 | 2018-09-17

    지진은 더이상 국민들에게 옆나라 이야기가 아니다. 최근 포항 지진을 비롯해 국내에서 발생하는 잦은 지진이 국민들의 불안감을 증폭시켰다. 이에 내진설계의 중요성이 여느 때보다 중요해진 시...

  • "미래 스마트 건설 주인공은 젊은 그대"
    신아일보 | 2018-09-17

     LH가 대한민국의 스마트 건설을 이끌어 갈 청년 창업자를 찾는다. 스마트 건설 창업 아이템 또는 미래 신성장 기술 등을 활용한 사업계획서를 심사해 총 10팀에 최대 2500만원의 창업 지원 및 사업화 촉진비를 지급한다.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건설 분야 청년 창업 지원을 위해 '2018년 LH 청년 창UP·스타트UP 디...

  • [Q&A] 공사대금채권에 대한 양도금지 특약을 주장할 수 없는 경우
    건설경제신문 | 2018-09-17

    Q : 악의의 양수인으로부터 다시 선의로 양수한 전득자가 민법 제449조 제2항 단서의 ‘선의의 제3자’에 해당하는지 여부 및 선의의 양수인으로부터 다시 채권을 양수한 전득자는 선의·악의를 불문하고 채권을 유효하게 취득하는지 궁금합니다.

  • 건물공사장 소음·먼지 피해 2619만원 배상
    대한전문건설신문 | 2018-09-17

     서울에 거주하는 104명의 주민들이 인근 건물공사장에서 발생한 소음·진동, 먼지, 조망저해로 인해 정신적·조망 피해를 입었다며 시공사를 상대로 1억1900만원의 피해배상을 요구한 사건이다.◇당사자 주장=△신청인:거주지 인근에서 시작된 철거공사와 건물 신축공사로 인해 발생한 소음·진동, 먼지로 극심한 고통...

  • 인천도시공사, 도시재생·주거복지등 아이디어 공모
    경인일보 | 2018-09-17

    인천도시공사가 기존 개발사업 및 도시재생·주거복지 활성화를 위한 시민 제안을 받는다.인천도시공사는 '함께 만드는 인천, 시민 제안 공모전'을 10월 12일까지 실시한다고 16일 밝혔다.공모 부문은 '기존 사업 시설 도입 제안'과 '도시재생·주거복지 활성화를 위한 신규 사업 제안' 등 2개다.

  • 건설사 하반기 신입사원 공채 계속
    한라일보 | 2018-09-17

    추석 명절 연휴를 앞두고 주요 건설사들의 하반기 신입사원 공채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  

  • [이상호의 건설프리즘] 우리와 너무 다른 외국 인프라 정책
    건설경제신문 | 2018-09-17

       글로벌화가 진전되면서 세계 각국의 경제정책은 비슷한 방향으로 수렴하고 있다. 전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추지 못하는 산업은 글로벌 경쟁력을 상실할 것이고, 정책은 제대로 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인프라 정책도 그렇다. 

  • 익산시 현장감사 실시로 부실공사 방지 나서
    전북도민일보 | 2018-09-17

     익산시는 건설공사장 부실공사 방지와 주민불편 예방을 위해 2억이상 건설공사 20개소, 도로굴착현장 14개소를 대상으로 올해 3분기 현장감사를 실시해 보완시공 8건, 기술지도 20건, 안전시설 보강 1건 등 29건에 대하여 지도 개선했다.

  • ‘처벌 위한 조사’ 제동 건 개혁委…건설현장 안전관리 판 바뀌나
    건설경제신문 | 2018-09-17

    고용노동부의 ‘적폐청산위원회’격인 고용노동행정개혁위원회가 불합리한 산업안전분야 행정의 개혁을 주문하면서 건설현장 안전관리의 패러다임이 전환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