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5(수)
  • 서울  23℃
  • 인천  21℃
  • 대전  24℃
  • 광주  23℃
  • 대구  23℃
  • 울산  26℃
  • 부산  24℃
  • 제주  23℃

언론뉴스

리스트 정렬방식
검색
  • 공공임대주택 미래는?…새로운 설계 관심
    머니투데이 | 2018-09-10

    그동안 임대주택이라고 하면 가난한 사람들이 사는 집이라는 편견을 지우지 못했습니다. 정부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하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현장에 적용한다는 계획입니다. 문정우 기자입니다. 

  • [산으로 간 건물안전법]"감리는 구조기술사가 해야" VS "인력 한계...건축사로 충분"
    서울경제 | 2018-09-10

    정부가 경주 지진 이후 건축물의 구조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한 대책 가운데 하나가 필로티 건축물에 대한 설계 및 감리 강화이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는 ‘필로티 건축물에 대한 건축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을 지난 7월 말 입법예고 했다. 3층 이상 필로티 건물을 신축할 경우 건축 설계·공사감리 때 전문기술...

  • '지역건축안전센터' 설립도 지지부진
    서울경제 | 2018-09-10

    지난 2014년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사고 이후 도입이 추진됐던 ‘지역건축안전센터’가 지지부진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건축안전센터는 지방자치단체가 전문성을 갖춘 건축사·구조기술사 등을 채용해 설계도서, 구조계산서, 사용승인 점검 등 건축물의 안전과 관련된 기술적인 사항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이...

  • 건축물 화재 안전 강화를 위한 입법 토론회
    뉴시스 | 2018-09-10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열린 '건축물 화재 안전강화를 위한 입법 토론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임종성 의원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 울산시건축상에 53개 작품 공모
    파이낸셜뉴스 | 2018-09-10

    울산시는 ‘제8회 울산광역시건축상’ 공모 작품 접수 마감 결과, 주거, 공공, 일반 3개 분야에 53개 작품이 접수됐다고 10일 밝혔다. 작품접수는 지난 6월 18일부터 8월 31일까지 이뤄졌다.  

  • ‘유치원 붕괴’ 원인 감리업체 지정은 누가?…건축주의 ‘셀프 감리’
    동아일보 | 2018-09-10

    서울 동작구 상도유치원 붕괴의 원인이 된 다세대주택 공사의 감리업체는 건축주가 지정했다. 사실상 ‘셀프 감리’가 이뤄진 것이다. 지난해 12월 충북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올 1월 경남 밀양 세종병원 화재 참사 때처럼 부실한 안전을 지적하고 고쳐야 할 감리 시스템이 이번에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현행 건축법...

  • "건설업계,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 '2주→4주' '3개월→1년' 확대 필요"
    이투데이 | 2018-09-10

    건설업계에 적용하는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 기간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최은정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1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근로시간 단축 대응방안 대토론회' 발표자로 나서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단위를 현행 2주에서 4주로, 3개월에서 1년 단위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

  • "건설업 주52시간 근로시간 단축으로 근로자 임금 13% ↓"
    국토일보 | 2018-09-10

    올해 7월부로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이 전격 시행됨에 따라 건설사와 건설 노동자 모두 위기에 처했다. 공사비는 최대 14.5% 증가하고, 노동자 임금은 13% 감소하는 등 산업 안팎으로...

  • 산청군-대한전문건설협회 지역발전 맞손
    프라임경제 | 2018-09-10

    산청군이 지역 건설협의체와 지역발전은 물론 상생협력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군은 10일 대한전문건설협회 산청군협의회(회장 박규서)와 상생협력 방안 모색과 소통을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이는 지난 5일 산청군종합건설협의회와 간담회를 가진데 이어 다시한번 소통의 시간을 가진 것이다. 

  • 전남 신안군,흑산공항 건설 사업타당성 및 주요쟁점에 대한 추가확인 및 논의
    브릿지경제 | 2018-09-10

    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는지난 7일 정부서울청사 별관 3층 외교부 국제회의실에서 흑산공항 종합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공항건설에 따른 국립공원의 가치 훼손 수용 여부, 항공사고 우려 등의 안전 문제, 주민 이동권을 보장하는 다른 실질적인 대안, 대체서식지의 적합성, 경제적 타당성 등에 대해 전문가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