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뉴스
-
건설기술교육원, ‘BIM 개념과 이해’ 20일 무료교육
건설경제신문 | 2018-07-11
건설기술교육원(원장 전병국)은 오는 20일 서울 역삼동 한국과학기술회관 내 서울분원에서 ‘BIM 개념과 이해’라는 주제로 1일 무료교육을 실시한다.최근 공공공사에도 BIM(빌딩정보모델링) 발주가 늘고 적용범위가 확대되는 추세지만, 정작 발주처와 감리 등은 여전히 BIM에 대한 개념정립이 부족해 이해를 돕기 위한 교...
-
“비용폭탄” 터지나…불안한 전문건설업계
건설경제신문 | 2018-07-11
이달부터 시작된 근로시간 단축에 이어 사회보험료 인상이 예고되면서 전문건설업계가 그야말로 폭풍전야다. 전문건설업계의 비용 부담이 크게 늘어날 수 있는 만큼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10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이달부터 300인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주당 최대 근로시간이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줄어든 ...
-
툭 하면 그만두는 현장소장…건설사 ‘전전긍긍’
건설경제신문 | 2018-07-11
#경기지역 한 건축현장은 6개월 새 현장소장이 3번 교체됐다. 건축주가 워낙 까다로운 데다, 새로 온 현장소장마다 더 좋은 조건을 찾아 다른 현장으로 자리를 옮겨서다. A건설사 관계자는 “우리 같은 중소규모 회사들은 능력 있는 현장소장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라며 “어렵게 계약한 소장들도 툭하면 중간에 그만두...
-
건설업 생산체계 개편, 머리 아픈 전문건설업계
건설경제신문 | 2018-07-11
정부가 오는 9월까지 건설업 생산구조 개편안을 마련하기로 한 가운데 전문건설업계가 대응방안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정부 정책 방향이 아직 안갯속에 있어 뾰족한 대응 방안은 찾지 못한 상황이다.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국토교통부가 ‘건설산업 혁신방안’을 발표한 이후 전문건설업계는 내부적으로 여...
-
“건설업 ‘근로시간’ 단축 완충책 마련돼야”
건설경제신문 | 2018-07-11
건설업의 주당 최대 52시간 근로제 안착을 위해서는 정책 정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국책연구기관에서 나왔다.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하 건설연)은 10일 발간한 ‘건설산업 주 52시간 근무 정착을 위한 정책과제’ 연구보고서를 통해 “근로시간 단축이 건설산업에 제대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고용노동부가 제시한 6개월의 계...
-
재건축조합에 금품 준 건설사, 공사비의 최대 20% 과징금
연합뉴스 | 2018-07-11
10월부터 재건축 등 정비사업을 따내기 위해 조합 등에 금품을 살포한 건설사는 시공권이 박탈되거나 공사비의 최대 20%가 과징금으로 부과된다.국토교통부는 재건축 수주 비리 처벌을 강화하는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 개정안이 공포됨에 따라 세부 사항을 정한 시행령을 오는 12일 입법예고 한다고 11일 밝혔다.
-
건설투자 증가율 제로(0)…경기개선 추세도 꺾였다
건설경제신문 | 2018-07-11
지난해 두 자릿수를 넘나들던 건설투자 증가율이 0%까지 떨어지면서 경기 개선 추세도 완만해지고 있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진단이 나왔다. 건설투자 경착륙을 해소할 수 있는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올해 경제성장률은 2%대로 주저앉을 것이란 관측이 이어지고 있다.한국개발연구원(KDI)은 10일 ‘KDI 경제동향’을 통해...
-
건설노조 “건설현장 포괄임금제 폐지해야”
건설경제신문 | 2018-07-10
건설 노동계가 근로시간 단축과 함께 ‘포괄임금제’ 폐지가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민주노총 전국건설노조는 10일 오전 전국 동시다발 기자회견을 열고 포괄임금제의 즉각 폐지를 촉구했다.건설노조는 “건설현장의 주 52시간 근무제 안착을 위해선 주휴수당 지급이 필수”라며 “이를 위해선 시간외 수당을 묶어 임금을 ...
-
경산시, 우수기 대비 주요 건설현장 기동감찰 결과 발표
KNS뉴스통신 | 2018-07-10
경산시는 우수기를 대비해 주요 건설현장 85개소를 기동감찰 실시한 결과 13건을 적발 및 시정 조치했다.이 가운데 7개 사업장에 대해 5천여만 원을 감액조치 및 시정하고, 6개 사업장에 대해서는 현지시정 조치했다.
-
건설업계, 순환골재 용도 확대에 ‘난색’
중앙일보 | 2018-07-10
정부가 순환골재 시장 활성화에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면서 골재 업계보다 오히려 건설업계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아직까지 부실 품질 논란에 유해성 논란이 가시지 않은 콘크리트 순환 골재를 사용할 경우 비용절감에 따른 ‘득’보다는 소비자 신뢰 상실이라는 ‘실’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일각에선 정부가 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