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3(목)
  • 서울  28℃
  • 인천  25℃
  • 대전  29℃
  • 광주  30℃
  • 대구  28℃
  • 울산  30℃
  • 부산  25℃
  • 제주  24℃

언론뉴스

리스트 정렬방식
검색
  • 전남도, 담양 매산지구 ‘새꿈도시 개발 투자협약’ 체결
    아시아경제 | 2018-11-09

    전남도는 주왕종합건설과 담양 대덕면에 은퇴자 도시인 ‘새꿈도시’를 건설하는 1천67억 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 습지에 산업단지 건설?…경남 습지 몸살
    KBS | 2018-11-09

    세계 습지의 가치를 인정하고 보호를 다짐한 람사르 창원총회가 올해로 10주년을 맞았습니다.하지만, 정작 경남의 습지들은 보호는커녕 각종 개발 위기에 놓여 있습니다.차주하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 전북도내 건설공사 수주액 늘었다
    전라일보 | 2018-11-09

    올해 도내 건설업체들의 수주액이 '새만금사업에서의 지역업체 우대기준' 효과에 힘입어 크게 상승했다. 

  • 건설근로자법 개정안 11월 국회 통과하나
    건설경제신문 | 2018-11-09

    지난 2013년 발의 이후 아직도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는 건설근로자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이하 건고법) 개정안이 5년여 만에 통과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건설업계와 노동계의 첨예한 대립에 최저임금, 근로시간 단축 등 대형 노동이슈가 거세지만, 최근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이 법안 통과에 집중하...

  • 건설·설비투자 부진 '경기둔화' 전망
    인천일보 | 2018-11-09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최근 우리나라의 경기가 악화됐다는 판단을 내렸다. 내수 부진으로 경기가 둔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국개발연구원은(KDI)은 8일 발표한 'KDI 경제동향'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수출이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으나, 내수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전반적인 경기는 다소 ...

  • 지역 건설업체 “일감 수주 늘어날 것” 기대
    국제신문 | 2018-11-09

    정부가 40여 년간 유지한 건설업 업역 규제를 단계별로 폐지하기로 했다. 지역 건설업계는 대체로 이를 반기는 분위기지만 무한경쟁에 다른 소규모 영세 업체의 도태 문제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대한전문건설협회와 대한건설협회 부산시회 등 지역 건설업 관계자들은 8일 건설업 업역 규제 폐지에 “시장이 넓어져 ...

  • 지역 건설업체 전국 100대 건설사 협력업체 등록 지원
    광주일보 | 2018-11-09

    광주시는 8일 “지역 내 우수 전문건설업체가 전국 100대 종합건설업체 협력업체로 등록, 하도급 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고 밝혔다.국토교통부는 최근 전국 5만9000여 개 건설업체의 공사실적, 경영상태, 기술능력, 신인도 등을 종합평가해 발표한 ‘2018 시공능력 평가’ 결과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시...

  • '초고층' 지정되면 건축규제 폭발적 증가 … 시공 기피
    건설경제신문 | 2018-11-09

    올해 초까지 서울시와 최고층수 문제로 줄다기리를 했던 은마아파트 조합추진위원회가 목표한 층수는 49층. 작년 설계공모전 추진할 때만 해도 50층을 목표했던 추진위가 설계사 자문 이후 목표치를 49층으로 수정했다. 용적률 높기로 유명한 여의도에서 추진하는 재건축 단지들도 속속 49층으로 건축계획을 세우고 사업...

  • 강원건축문화제 14일 춘천서 개막
    강원도민일보 | 2018-11-09

    2018 강원건축문화제가 도시재생을 주제로 춘천에서 열린다.대한건축사협회 강원도건축사회(회장 김창기)는 오는 14일부터 17일까지 4일간 춘천시청에서 ‘Born-A-Gain:도시재생’을 주제로 2018 강원건축문화제를 개최한다고 8일 밝혔다. 올해 5회째를 맞는 이번 문화제는 도 건축사회가 주최하고 춘천지역건축사회가 주...

  • 경민大 안전은 뒷전… ‘불법 건축물 천국’
    경기일보 | 2018-11-09

    의정부시 가능동 소재 경민대학교가 교내 건물들을 불법적으로 증축하거나 개조해 수년간 교육시설과 창고 등으로 사용해 온 것이 드러났다. 화재에 취약한 샌드위치 패널로 조성된 불법 건축물들은 소방안전 자체점검에서도 빠져 있어 화재사고 대비가 시급하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