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뉴스
-
경기도 "건설기술자 1명이 109개 현장 관리···7천140건 위반 사례 적발"
국토일보 | 2018-01-04
건설기술자 1인이 최고 109개 건설현장을 관리하는 등 기술자 1인 평균 11.7개 현장을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격증 대여 등의 수법으로 무자격 건설기술자가 건축을 지휘하고 있...
-
[차이나리포트] 4차 산업혁명 '축소판'…중국 스마트시티 건설 '가속도'
아주경제 | 2018-01-04
“빅데이터를 잘 활용해 도시를 더욱 ‘똑똑’하게 만들어라.”
-
중견건설사 도시정비시장 수주 목표는?
건설경제신문 | 2018-01-04
중견건설사들은 보수적인 관점에서 올해 도시정비사업 신규 수주 목표를 잡았다. 대부분의 건설사가 작년보다 수주 목표치를 낮게 잡거나 작년과 같은 수준의 수주 목표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
근로감독관 채용↑…건설현장 ‘안전 사수’ 가능할까
건설경제신문 | 2018-01-04
정부가 산업현장의 근로감독과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전문인력을 대거 채용키로 하면서 건설업계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
[신년기획]안전한 건설(1부-하) 적정 공사비 보장 위해 팔 걷은 정부
건설경제신문 | 2018-01-04
조달청은 지난 연말 ‘조달행정 개선방안’을 내놓고 내년 상반기부터 적정 공사비를 보장할 수 있는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
[신년기획]안전한 건설(1부-하) 장기계속계약 늑장집행도 안전 위협
건설경제신문 | 2018-01-04
입찰을 거쳐 계약금액이 확정됐다고 해서 재정집행이 마무리된 것은 아니다. 안전과 직결되는 적정 공사비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착공부터 준공까지 전 과정에서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집행체...
-
[신년기획]안전한 건설(1부-하) 삭감 도구로 전락한 ‘깜깜이’ 계약심사ㆍ총사업비협의
건설경제신문 | 2018-01-04
공공조달 입찰의 기준이 되는 공사비(예정가격, 기초금액)는 크게 조사-계획-설계 등의 프로세스로 결정된다. 공사 규모나 발주기관에 따라 다르지만, 프로세스별로는 가격이나 공법 등에 대한 ...
-
[신년기획]안전한 건설(1부-하) 기준 단가부터 어긋난 집행체계
건설경제신문 | 2018-01-04
공사비 검증프로세스가 삭감에만 치우친 것도 문제지만, 공사비 산출기준 자체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것은 더 큰 문제다. 심사나 협의 결과와 관계없이 이미 적정 공사비를 확보할 수 없는 구조에 갇혀 있기 때문이다.
-
건설사 주도형 첫 ‘시설ㆍ환경 융복합형 로봇’ 이르면 연말 공급
건설경제신문 | 2018-01-04
건설사가 주도하는 첫 시설ㆍ환경 융복합형 로봇(인공지능 기반 대화형)이 이르면 올해 말 현장에 공급될 전망이다.
-
美, 건설업 면허 없다?…51개州 중 31곳 면허제 시행, 기준도 깐깐
건설경제신문 | 2018-01-04
‘미국은 건설업 면허가 없다’는 통념이 사실과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