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뉴스
-
건설산업 칸막이 폐지? 건설업계는 ‘갸우뚱’
이투데이 | 2018-07-03
정부가 지난 1976년 전문건설업 도입 이후 40여년 만에 종합과 전문건설사로 나뉜 건설산업의 칸막이 규제를 개선 및 폐지하기로 했다. [출처] 이투데이: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37253#csidx9a3a02fc53180518d8196133b6f1aa3
-
[주52시간] 건설사, 갖은 수를 내보지만…'현장' 적응이 관건
NEWSIS | 2018-06-25
"정부가 수주 산업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지 의문. 건설업이 제조업인가? "(대형 건설사 관계자)"우리(시공능력 기준 업계 20위권) 수준에서도 아직 어떻게 (적응)할지 결정을 못했다. 업계 동향을 살피고 있는 중이다."(중견 건설사 관계자)
-
이번에도 ‘건설’ 빠진다면… 하반기 ‘고용대란’ 닥친다
건설경제신문 | 2018-06-22
정부가 새로 마련하기로 한 저소득층 맞춤형 일자리대책에도 건설ㆍ부동산 연착륙방안이 빠진다면 하반기에는 건설발 ‘고용대란’이 닥칠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대규모 추경(추가경정예산)을 포함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 SOC 투자 확대와 적정 공사비 보장 등 특단의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
인천 “송도국제도시 6·8공구 도로 등 기반시설공사 조속 추진”
브릿지경제 | 2018-06-20
인천경제청이 오는 10월 입주 예정인 A3블럭 공동주택 주민들의 통행을 위해 송도 6·8공구 1단계 도로공사를 1130억원을 들여 완공했다. 19일 인천경제청에 따르면 송도6·8공구 내 미 개설된 도시계획도로 등 3단계 기반시설공사(광2-14호선 외 15개소)를 위한 실시설계용역을 본격 추진한다.
-
SH공사, 제4회 청년건축가 공모전
연합뉴스 | 2018-06-20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청년이 제안하는 청년 일터와 삶터, 청년 창업 플랫폼을 주제로 '제4회 SH청년건축가 공모대전'을 연다. 건축, 도시설계, 조경, 사회적 경제 등에 관심 있는 대학·대학원생과 대학·대학원 졸업 후 3년 이내인 청년이 참여할 수 있다. 참가 신청은 8월 10일 오후 5시까지 SH공사 홈페이지로 ...
-
2018년 하반기 최대 규모의 건축박람회 ‘2018 서울경향하우징페어’ 7월 5일(목) 코엑스 개막
CCTV뉴스 | 2018-06-19
하반기 최대 규모 건축전시회 ‘2018 서울경향하우징페어’가 7월 5일(목)부터 7월 8일(일)까지 나흘 간 서울 강남 코엑스(COEX)에서 열린다.33년간 다져온 브랜드 이미지, 매번 새로운 컨텐츠와 다양한 부대행사를 통해 업계 관계자들과 참관객 모두를 만족시켜온 ‘경향하우징페어’가 하반기 첫 순회전시회로 서울에서 열...
-
[북미정상회담] 건설사 잇따라 대북 TF 구성…통일건설포럼·세미나 등 러시
건설경제신문 | 2018-06-15
건설업계는 북ㆍ미 정상회담 후 남북 경제협력 분위기가 조성될 것에 대비하는 모습이다.건설사와 연구기관, 공기업, 학계 등이 대거 참여하는 건설업계 포럼을 재가동하고, 기업들은 저마다 대북 건설사업 기회를 잡기 위해 태스크포스(TF)를 꾸리는 등 분주하다.
-
[뉴스 TALK] LH, 임대주택 브랜드 바꿔 부정적 이미지 털겠다는데…
조선비즈 | 2018-06-12
국내 최대 건설·부동산 공기업인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하반기에 새로운 공공임대주택 브랜드를 내놓겠다고 밝혔습니다. 임대 아파트에 새로운 이름을 붙여 '서민 주택' 이미지를 탈피하겠다는 목적입니다. 이를 위해 3월 '공적임대주택 브랜드 네이밍 및 BI(브랜드 정체성) 구축 용역' 입찰공고를 내고 지난달 초 심...
-
건축사 감리 수주 막은 경북 건축사회에 과징금 1.3억
아시아경제 | 2018-06-11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 공정거래위원회는 경북 7개 지역 건축사회가 구성사업자의 감리 실적·신규가입 여부에 따라 수주를 제한한 행위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1억3200만원을 부과키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
주52시간 근무제로 건설현장 비용 최대 14.5% 증가
이데일리 | 2018-06-11
오는 7월부터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되면 건설현장 총 공사비가 평균 4.3%, 최대 14.5%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따라 연간 단위의 탄력근로제를 도입하고 근로시간 단축을 사업단위별로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