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9(일)
  • 서울  17℃
  • 인천  16℃
  • 대전  15℃
  • 광주  16℃
  • 대구  17℃
  • 울산  16℃
  • 부산  19℃
  • 제주  17℃

건축용어

리스트 정렬방식
검색
  • 땅콩집 (Duplex House, 듀플렉스 하우스)
    | 2018-02-05

    [정의]두 세대가 마당은 공동으로 사용하고 건물은 하나의 매스를 이루어 건축되는 단독 주택을 말한다.[용어설명]땅콩집은 공동으로 토지를 매입하기 때문에 저렴한 가격으로 단독주택을 지을 수 있고, 공사기간도 매우 짧아 공사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실제로 땅콩집이 동일 면적의 아파트 구입비용보다 ...

  • 도시환경정비사업
    | 2018-02-05

    [정의] 상업지역·공업지역 등으로서 토지의 효율적 이용과 도심 또는 부도심 등 도시기능의 회복이나 상권활성화 등이 필요한 지역에서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한 정비사업의 하나이다. [용어설명]도시환경정비사업은 구 「도시재개발법」에 의해 도심재개발사...

  • 도시지역
    | 2018-02-01

     [정의] 인구와 산업이 밀집되어 있거나 밀집이 예상되어 그 지역에 대하여 체계적인 개발·정비·관리·보전 등이 필요한 지역으로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용도지역의 대분류 중 하나이다.   [용어설명] 도시지역은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개발·정비·보전될 수 있도...

  • 도시재생
    | 2018-02-01

     [정의]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역량의 강화, 새로운 기능의 도입·창출 및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하여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용어설명] 도시재생은 도시커뮤니티 유...

  • 도시자연공원구역
    | 2018-02-01

    [정의] 도시의 자연환경 및 경관을 보호하고 도시민에게 건전한 여가·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도시지역 안에서 식생(植生)이 양호한 산지(山地)의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있는 경우 설정하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용도구역의 하나이다. [용어설명] 도시자연공원구역에서는 건축...

  • 도시연담화
    | 2018-01-30

    [정의]연담화란 중심도시의 팽창과 시가화의 확산으로 인하여 주변 중소도시의 시가지와 서로 달라붙어 거대도시가 형성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용어설명]도시연담화는 영국의 도시계획가 패트릭 게데스(Padrick Geddes)의 저서 『진화 속의 도시(Cities in Evolution)』에서 거론된 도시...

  • 도시기본계획
    | 2018-01-30

    [정의]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특별자치도·시·군의 관할구역에 대하여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장기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으로서 도시관리계획의 수립 지침이 되는 계획이다.     [용어설명]도시기본계획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법정 계획으로서 계획내용이 물리...

  • 도시관리계획
    | 2018-01-30

    [정의]특별시·광역시·시 또는 군의 개발·정비 및 보전을 위하여 수립하는 토지이용·교통· 환경·경관·안전·산업·정보통신·보건·후생·안보·문화 등에 관한 일련의 계획이다.       [용어설명]도시관리계획은 시·군의 제반기능이 조화를 이루고 주민이 편안하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

  • 도시공원
    | 2018-01-29

    [정의]「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도시계획시설 중 공원의 하나로 도시지역 안에서 도시자연경관의 보호와 시민의 건강·휴양 및 정서생활의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된 공원을 말한다.  [용어설명]일반적으로 공원은 공중의 보건·휴양·위락을 위하여 설치된 녹지공간이...

  • 도시계획위원회
    | 2018-01-29

    [정의]도시기본계획 수립 및 도시관리계획 결정 등 도시계획과 관련된 사항을 심의 또는 자문하는 의사결정기구이다.   [용어설명]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중앙도시계획위원회와 지방 도시계획위원회로 구분된다. 지방도시계획위원회는 특별시·광역시·도·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