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용어
-
녹지지역
| 2018-01-16
[정의] 자연환경·농지 및 산림의 보호, 보건위생, 보안과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녹지의 보전이 필요한 지역으로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도시지역의 세분류 중 하나이다. [용어설명] 녹지지역은 자연환경 및 경관의 보호, 희귀 및 멸종위기 야생 동...
-
건축허가 및 착공제한지역
| 2017-12-19
[정의]국토관리 등을 위하여 특히 필요한 경우 허가권자의 건축허가나 이미 건축허가를 받은 건축물의 착공을 일정 기간 동안 제한하는 지역이다. [용어설명]건축허가 및 착공제한지역은 「건축법」에 의하여 국방·문화재보존·환경보전 등 다양한 목적으로 지정 될 수 있으나 주로 도시지역에서 ...
-
도로 (「건축법」상)
| 2018-01-22
[정의]「건축법」에 의한 도로란 보행과 자동차 통행이 가능한 너비 4미터 이상의 도로나 예정 도로를 말한다. [용어설명]「건축법」에서는 건축물의 출입을 위해, 건축물의 건축 시 당해 대지의 2m 이상이 도로에 접하도록 규정하고 있다(연면적의 합계가 2천㎡ 이상인 건축물의 대지는 너비 6m이상 의 도로에 4m...
-
교통영향평가 (교통영향분석·개선대책)
| 2018-01-04
[정의]사업의 시행에 따라 발생하는 교통량·교통흐름의 변화 및 교통안전에 미치는 영향 (교통영향)을 조사·예측·평가하고 그와 관련된 각종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행위를 말한다. [용어설명]교통영향평가의 실시대상 지역은 도시교통정비지역 및 도시교통정비지역의 교통권역을 ...
-
공공공지
| 2017-12-26
[정의] 시·군내의 주요시설물 또는 환경의 보호, 경관의 유지, 재해대책, 보행자의 통행과 주민의 일시적 휴식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로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기반시설 중 공간시설의 하나이다. [용어설명]공공공지는 공공목적을 위하여 필요한 최소...
-
역세권 (Station′s Sphere of Influence)
| 2018-03-02
[정의] 일반적으로 역(기차역, 지하철역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상업 및 업무활동이 이뤄지는 반경 500m 내 지역을 말한다.[용어설명] 「역세권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는 철도역 및 주변지역을 역세권이라 정의하고 있다. 서울시 「역세권 장기전세주택 건립관련 지구단위계획 ...
-
고도지구
| 2017-12-22
[정의] 쾌적한 환경 조성 및 토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건축물 높이의 최저한도 또는 최고한도를 규제하기 위해 지정하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용도 지구의 하나이다. [용어설명] 고도지구는 지정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된다.1. 최고고도지구 : 환경과 경관을 보...
-
국토이용정보체계
| 2018-01-05
[정의]국토의 이용 및 관리와 관련하여 구축한 여러 분야의 정보시스템을 포괄하는 것으로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 도시계획정보시스템(UPIS),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LURIS) 등을 말한다. [용어설명] 종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국토이용정보체계는 도시...
-
제진
| 2017-12-19
땅으로부터 건물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고, 그 진동에 대응하는 힘을 반대 방향으로 작용시켜 건축물의 흔들림을 막는 구조를 말한다.4) 기본 개념은 지진 발생 시 구조물로 전달되는지진력을 최대한 상쇄하여 간단한 보수만으로 구조물을 재사용할 수 있게 만든 시스템이다.5)손상 정도는 내진 구조에 비해 ...
-
경관지구
| 2017-12-21
[정의]경관을 보호·형성하기 위해 지정하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용도지구의 하나이다. [용어설명]경관지구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용도지구의 하나로, 그 지정 및 변경은 도시관리계획의 결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경관(景觀)이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