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용어
-
도시자연공원구역
| 2018-02-01
[정의] 도시의 자연환경 및 경관을 보호하고 도시민에게 건전한 여가·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도시지역 안에서 식생(植生)이 양호한 산지(山地)의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있는 경우 설정하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용도구역의 하나이다. [용어설명] 도시자연공원구역에서는 건축...
-
도시연담화
| 2018-01-30
[정의]연담화란 중심도시의 팽창과 시가화의 확산으로 인하여 주변 중소도시의 시가지와 서로 달라붙어 거대도시가 형성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용어설명]도시연담화는 영국의 도시계획가 패트릭 게데스(Padrick Geddes)의 저서 『진화 속의 도시(Cities in Evolution)』에서 거론된 도시...
-
공업지역
| 2017-12-28
[정의] 공업의 편익증진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으로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도시지역의 세분류 중 하나이다. [용어설명] 공업지역은 주변지역에 오염피해의 발생을 방지하며, 공업생산의 능률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형지세, 풍향, 수자원 및 교통시설과의 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
-
개발제한구역 (GB; Green Belt)
| 2017-12-14
[정의]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고 도시주변의 자연환경을 보전하여 도시민의 건전한 생활환경 확보를 목적으로 도시 주변에 설정하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용도구역의 하나이다. [용어설명]개발제한구역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을 대상으...
-
개발밀도관리구역
| 2017-12-14
[정의] 개발로 인하여 기반시설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나 기반시설을 설치하기 곤란한 지역을 대상으로 건폐율이나 용적률을 강화하여 적용하기 위하여 지정하는 구역을 말한다. [용어설명]개발밀도관리구역은 도시지역 내 주거지역, 상업지역 또는 공업지역에서 지방도시계획 위원회의 심의를 ...
-
도시지역
| 2018-02-01
[정의] 인구와 산업이 밀집되어 있거나 밀집이 예상되어 그 지역에 대하여 체계적인 개발·정비·관리·보전 등이 필요한 지역으로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용도지역의 대분류 중 하나이다. [용어설명] 도시지역은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개발·정비·보전될 수 있도...
-
도로의 구분
| 2018-01-25
[정의] 도로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기반시설 중 교통시설의 하나로서 도시계획시설로 결정 시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사용 및 형태별’, ‘규모별’, ‘기능별’로 구분된다. [용어설명] 도로를 ‘사용 및 형태별’, ‘규모별’, ‘기능...
-
현황도로
| 2018-04-05
[정의]지적도 상에 도로로 표기되어 있지 않지만 주민이 오랫동안 통행로로 이용하고 있는 사실상의 도로를 말한다. [용어설명]「건축법」에서는 건축허가 또는 신고 시에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이 현황도로를 「건축법」상 도로로 지정·공고할 수 있는...
-
학교환경위생 정화구역
| 2018-04-05
[정의]학교의 보건·위생 및 학습 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학교보건법」에 의해 지정된 구역을 말한다. [용어설명]학교환경위생 정화구역은 학교보건법에 따라 교육감이 지정하며, 이는 절대정화구역과 상대정화구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한다. 1. 절대정화구역 : 학교출입문(학교설립예정지...
-
근린생활시설
| 2018-01-08
[정의] 근린생활시설은 「건축법」에 의한 건축물의 용도 중의 하나로 슈퍼마켓 등 보통 일상 생활에 필요한 시설이며 제1종근린생활시설과 제2종근린생활시설로 구분된다. [용어설명] 제1종, 제2종근린생활시설의 세부종류는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용도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