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1(화)
  • 서울  17℃
  • 인천  16℃
  • 대전  15℃
  • 광주  16℃
  • 대구  17℃
  • 울산  16℃
  • 부산  19℃
  • 제주  17℃

커뮤니티

  • [서양근대건축사]안토니 가우디(Antoni Gaudi 1852-1926) 소위 지속가능한 건축이라는 것 bbs02 2014-10-22
     안토니 가우디(Antoni Gaudi 1852-1926)소위 지속가능한 건축이라는 것  근대시기에 유럽에서 가장 영향력 있었던 건축이론가를 꼽으라 하면 영국의 존 러스킨(John Ruskin, 1819〜1900)과 퓨진(A.W.N.Pugin, 1812〜1852), 프랑스의 비올레 르 딕(Viollet le Duc, 1814〜1879) 그리고 오스트리아의 고트프리트 젬퍼(Gottfried Semper, 1803〜1879)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워낙 유명했던 이론가들이라서 당시 유럽에서 건축을 한다는 사람치고 이들의 책을 한두 권 읽지 않은 이는 없었을 것이다. 어떤 이론가의 생각에 동의하는가에 따라 건축적 결과들은 다르게 나타났다....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서양근대건축사]아돌프 로스의 골드만&살라쉬 스토어(Goldman & Salatsh store,1909-1911)와 루이스 설리번의 카슨피리스콧 백화점(Carson Pirie Scott building, 1898-1904) news 2014-10-21
     카슨피리스콧 백화점(Carson Pirie Scott building, 1898-1904)장식과 범죄?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폭군으로 여겨 왕으로서 묘호조차 받지 못하고 군으로 강등된 이 혼이 ‘광해’라는 영화로 화재다. 광해군을 폭군이며 패륜아로 기록한 것은 인조반정 후 권력을 잡은 자들이 실록을 수정했기 때문이다. 역사는 승리자의 기록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된다. 건축역사도 예외는 아닐 터, 그런데 건축역사는 운 좋게 건물들이 남아있는 경우 그 진의의 파악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우측의 건물<사진 1>은 시카고파의 거두(巨頭) 루이스 설리번(Louis Sullivan: 1856~1924)의...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서양근대건축사]아돌프 로스의 골드만&살라쉬 스토어(Goldman & Salatsh store,1909-1911)와 루이스 설리번의 카슨피리스콧 백화점(Carson Pirie Scott building, 1898-1904) bbs02 2014-10-21
     카슨피리스콧 백화점(Carson Pirie Scott building, 1898-1904)장식과 범죄?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폭군으로 여겨 왕으로서 묘호조차 받지 못하고 군으로 강등된 이 혼이 ‘광해’라는 영화로 화재다. 광해군을 폭군이며 패륜아로 기록한 것은 인조반정 후 권력을 잡은 자들이 실록을 수정했기 때문이다. 역사는 승리자의 기록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된다. 건축역사도 예외는 아닐 터, 그런데 건축역사는 운 좋게 건물들이 남아있는 경우 그 진의의 파악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우측의 건물<사진 1>은 시카고파의 거두(巨頭) 루이스 설리번(Louis Sullivan: 1856~1924)의...
    답변수 0   |   추천수 1   |   조회수 0
  • 고층건축물 감리에 건축구조기술사 참여 의무화 news 2014-10-21
    앞으로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 120m 이상인 고층건축물을 감리할 때에는 건축구조기술사가 감리 과정에 참여해 중간감리보고서 및 감리완료보고서에 협력한 내용을 기록하고 감리자와 함께 서명 날인을 하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감리 시 건축구조 기술사가 협력해야 하는 사항을 규정한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이하 구조규칙) 개정안을 2월 7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그간 6층 이상 건축물 등을 설계하는 경우에는 설계자가 건축구조 기술사의 협력을 받도록 하고 있었으나, 감리 과정에 대해서는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았다. 그 결과 ...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고층건축물 감리에 건축구조기술사 참여 의무화 bbs02 2014-10-21
    앞으로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 120m 이상인 고층건축물을 감리할 때에는 건축구조기술사가 감리 과정에 참여해 중간감리보고서 및 감리완료보고서에 협력한 내용을 기록하고 감리자와 함께 서명 날인을 하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감리 시 건축구조 기술사가 협력해야 하는 사항을 규정한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이하 구조규칙) 개정안을 2월 7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그간 6층 이상 건축물 등을 설계하는 경우에는 설계자가 건축구조 기술사의 협력을 받도록 하고 있었으나, 감리 과정에 대해서는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았다. 그 결과 ...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