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0(월)
  • 서울  21℃
  • 인천  18℃
  • 대전  21℃
  • 광주  20℃
  • 대구  21℃
  • 울산  20℃
  • 부산  21℃
  • 제주  18℃

커뮤니티

  • [서양근대건축사]르꼬르뷔지에의 작은 집(Le Lac,1923-1924),근대주의 건축의 원시오두막 bbs02 2014-10-14
     근대주의 건축의 원시오두막저자가 셰필드 대학에서 공부할 때 학과장이었던 제레미틸(Jeremy Till, 현재는 런던 세인트 마틴 예술학교의 학장)의 불완전한 건축(Architecture Depends)이 최근 번역되어 나왔다. 책을 한 마디로 말하는 것이 다소 위험하지만 지면 사정때문에 간단하게 요약해보면, 건축행위는 관계에서 오는 우연성의 연속이며 그 자체로 자율적 가치를 만들어 내기가 어렵다. 영어 제목 그대로 ‘건축은 의존적’일 수밖에 없다. 요즘은 건축을 이야기하면서 이론을 이야기 하는 사람을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없지만 몇 년 전만 해도 뭔가 그럴싸한 이론 한...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건축설계산업 육성방안 제언 column 2014-10-14
     삶과 일터사이, 건축설계산업 육성방안 제언  지난해 10월 말 국토교통부가 주최하고 건축도시공간연구소가 주관한 건축설계산업 육성방안제목의 토론회가 개최됐다. 좌장을 위시해 토론 패널자, 그리고 방청객 건축사의 열띤 토론을 보면서 앞으로의 건축계가 앞날이 밝아 오리라는 기대를 갖게 했다. 하지만 의사표현 방법이 너무도 거칠었다. 상당히 아쉬운 마음 뒤로 하고 사무실에서 인터넷을 뒤적이다 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지난 글을 접하고서 더욱 씁쓸한 마음 금할 길 없었다.  1997년 IMF 이전 건설산업 및 건설 관련 산업은 국내 GDP의 1/3을 담...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건축설계산업 육성방안 제언 bbs03 2014-10-14
     삶과 일터사이, 건축설계산업 육성방안 제언  지난해 10월 말 국토교통부가 주최하고 건축도시공간연구소가 주관한 건축설계산업 육성방안제목의 토론회가 개최됐다. 좌장을 위시해 토론 패널자, 그리고 방청객 건축사의 열띤 토론을 보면서 앞으로의 건축계가 앞날이 밝아 오리라는 기대를 갖게 했다. 하지만 의사표현 방법이 너무도 거칠었다. 상당히 아쉬운 마음 뒤로 하고 사무실에서 인터넷을 뒤적이다 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지난 글을 접하고서 더욱 씁쓸한 마음 금할 길 없었다.  1997년 IMF 이전 건설산업 및 건설 관련 산업은 국내 GDP의 1/3을 담...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서양근대건축사]리트벨트의 슈뢰더하우스(Schroder s house, 1923-1924):가구처럼 만든 집 그래서 자유로웠던 집 news 2014-10-13
     가구처럼 만든 집 그래서 자유로웠던 집MVRDV와 렘 콜하스, 현상을 보는 새로운 틀인 데이터 스케이프(Datascape)를 가지고 나왔고 수직으로 적층된 수평면들의 개념을 흔들어버린 아키텍트들이다. 땅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생사가 갈렸던 지면이 낮은 나라의 특성을 고려하면 이들의 방법은 그 지역에서는 지극이 상식적이다. 국토의 많은 부분을 간척해서 만들었으니 대지에 물리적, 문화적 맥락이 많을 리 없어 대지와 관련된 각종 엄격한 법규와 프로그램이 중요한 설계 요소가 되었을 것이고 어차피 대지레벨이라는 것이 별로 중요하지 않아 자유롭게 만들고 없애고 ...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서양근대건축사]리트벨트의 슈뢰더하우스(Schroder s house, 1923-1924):가구처럼 만든 집 그래서 자유로웠던 집 bbs02 2014-10-13
     가구처럼 만든 집 그래서 자유로웠던 집MVRDV와 렘 콜하스, 현상을 보는 새로운 틀인 데이터 스케이프(Datascape)를 가지고 나왔고 수직으로 적층된 수평면들의 개념을 흔들어버린 아키텍트들이다. 땅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생사가 갈렸던 지면이 낮은 나라의 특성을 고려하면 이들의 방법은 그 지역에서는 지극이 상식적이다. 국토의 많은 부분을 간척해서 만들었으니 대지에 물리적, 문화적 맥락이 많을 리 없어 대지와 관련된 각종 엄격한 법규와 프로그램이 중요한 설계 요소가 되었을 것이고 어차피 대지레벨이라는 것이 별로 중요하지 않아 자유롭게 만들고 없애고 ...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