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2(수)
  • 서울  17℃
  • 인천  16℃
  • 대전  15℃
  • 광주  16℃
  • 대구  17℃
  • 울산  16℃
  • 부산  19℃
  • 제주  17℃

커뮤니티

  • 재활용 건축자재의 활용기준 일부개정안 행정예고 law 2018-07-26
     국토교통부 공고 제2018 - 957호「재활용 건축자재의 활용기준」을 개정함에 있어 그 취지와 주요내용을 국민에게 미리 알려 이에 대한 의견을 듣고자 그 제안이유와 주요내용을 「행정절차법」제46조의 규정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18년 7월 25일국 토 교 통 부 장 관   재활용 건축자재의 활용기준 일부 개정령안 1. 개정이유 ㅇ 우리부 공고(제2017-1711호) ‘순환골재 품질기준’의 개정(‘17.12)에 따라 서로 상충되는 재활용 기준의 부합화를 위하여 「재활용 건축자재의 활용기준」의 개정 추진2. 주요내용가. 건축기준의 완화조건...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재활용 건축자재의 활용기준 일부개정안 행정예고 bbs08 2018-07-26
    재활용 건축자재의 활용기준 일부 개정령안 1. 개정이유 ㅇ 우리부 공고(제2017-1711호) ‘순환골재 품질기준’의 개정(‘17.12)에 따라 서로 상충되는 재활용 기준의 부합화를 위하여 「재활용 건축자재의 활용기준」의 개정 추진2. 주요내용가. 건축기준의 완화조건의 통일 (안 제4조) ㅇ 건축기준의 완화조건을 「순환골재 품질기준」에서 정한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사용비율과 동일하게 사용토록 규정    *  굵은골재 60% 이하, 잔골재 30% 이하, 혼합사용시 30% 이하    **  향후 ‘순환골재 품질기준’ 개정에 따른 완화조건의...
    답변수 0   |   추천수 1   |   조회수 0
  • [건축물의 얼굴, 외장재 시리즈] 우리 생활에서 가장 자주 만나는 자재, 금속 & 유리 bbs03 2018-07-25
    건축물의 첫 인상을 결정하는 ‘외장재’는 시공과 조건 등에 따라 다양한 자재를 활용한다. 보편적으로 아파트의 경우 콘크리트 구체에 외벽을 보호하는 페인트 도장으로 마감한다. 고층 빌딩의 경우 석재, 금속패널, 유리 등으로 마감되며 소규모 주택이나 상가의 경우 벽돌로 마감하기도 한다. 건물의 규모, 특성 등에 따라 사용되는 외장재는 매우 다양하며 그 특성 또한 차이가 있다.     도심의 고층 빌딩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익숙한 금속과 유리시공이 빠르고 단가가 비싸다는 특징을 갖고 있는 금속 외장재는 소규모 건축물보다 대규모 건축물과 고층 빌딩에서 주...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건축물의 얼굴, 외장재 시리즈] 색감과 형태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적 마감재 bbs03 2018-07-25
    건축물의 첫 인상을 결정하는 ‘외장재’는 시공과 조건 등에 따라 다양한 자재를 활용한다. 보편적으로 아파트의 경우 콘크리트 구체에 외벽을 보호하는 페인트 도장으로 마감한다. 고층 빌딩의 경우 석재, 금속패널, 유리 등으로 마감되며 소규모 주택이나 상가의 경우 벽돌로 마감하기도 한다. 건물의 규모, 특성 등에 따라 사용되는 외장재는 매우 다양하며 그 특성 또한 차이가 있다.     벽돌이나 시멘트 블록 등을 쌓아 올린 조적 마감재‘조적’이라는 단어는 다소 생소하나 주변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조적 마감재는 벽돌, 시멘트 블록을 쌓아 올린 형태의 외장재...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건축물의 얼굴, 외장재 시리즈] 에너지 절감의 핵심 기술, 외단열 시스템 bbs03 2018-07-25
    건축물의 첫 인상을 결정하는 ‘외장재’는 시공과 조건 등에 따라 다양한 자재를 활용한다. 보편적으로 아파트의 경우 콘크리트 구체에 외벽을 보호하는 페인트 도장으로 마감한다. 고층 빌딩의 경우 석재, 금속패널, 유리 등으로 마감되며 소규모 주택이나 상가의 경우 벽돌로 마감하기도 한다. 건물의 규모, 특성 등에 따라 사용되는 외장재는 매우 다양하며 그 특성 또한 차이가 있다.     장점이 많은 만큼 시공 조건을 꼼꼼히 살펴봐야 하는 ‘외단열 시스템’단열재는 건축물의 어느 부분에 시공하느냐에 따라 내단열, 외단열, 중단열로 구분된다. 외단열은 건축물 전체...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