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9(일)
  • 서울  31℃
  • 인천  27℃
  • 대전  32℃
  • 광주  32℃
  • 대구  31℃
  • 울산  30℃
  • 부산  25℃
  • 제주  25℃

커뮤니티

  • 주목하라 씨엠종합건설! 부산 중소건설업계 최초 BIM 현장도입! bbs03 2014-06-18
    건설 분야에서는 설계 아이디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전달하는 과정으로 2차원 도면을 작도하고, 건축물의 시공 전 시뮬레이션을 위해 3차원 모델을 제작하는 일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건축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디지털 도구는 컴퓨터 보조설계도구라 정의되는 CAD(Computer Aided Design)이다. 1980년대 컴퓨터의 발전과 더불어 국내 건축설계사무소에 의해 처음 도입된 CAD는 설계 프로세스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점차적으로 발전하는 건축 기술은 최근 건설 프로젝트의 대형화, 복잡화됨에 따라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게 되었고, 그에 따른 기술개발과 혁신...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해넘긴 철근가격 대치 언제까지 가나? [ 일간건설  2014-01-09 ] news 2014-06-17
     극단적 대립 해결기미 안 보인다  지난해 9월 이후 철근 단가를 놓고 건설업계와 현대제철 등 제강사가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힘겨루기를 이어가고 있다. 이대로라면 이달 부가가치세 등 사업자 확정신고 처리기한까지 합의될 가능성이 작아 피해가 고스란히 양 업계에 전가될 것으로 우려된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작년 9·10·11·12월 철근가격을 놓고 건설업계와 제강사의 대치국면이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건설자재직협의회와 현대제철 등 제강사 주요 임원진은 지난해부터 해를 넘겨 올해 초까지 단가협상을 위한 만남을 거듭했지만 상호 입장 차이만 재확인...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해넘긴 철근가격 대치 언제까지 가나? [ 일간건설  2014-01-09 ] bbs02 2014-06-17
     극단적 대립 해결기미 안 보인다  지난해 9월 이후 철근 단가를 놓고 건설업계와 현대제철 등 제강사가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힘겨루기를 이어가고 있다. 이대로라면 이달 부가가치세 등 사업자 확정신고 처리기한까지 합의될 가능성이 작아 피해가 고스란히 양 업계에 전가될 것으로 우려된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작년 9·10·11·12월 철근가격을 놓고 건설업계와 제강사의 대치국면이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건설자재직협의회와 현대제철 등 제강사 주요 임원진은 지난해부터 해를 넘겨 올해 초까지 단가협상을 위한 만남을 거듭했지만 상호 입장 차이만 재확인...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올해 상반기 건설노임 기준가 1.54% 인상 [ 일간건설  2014-01-02 ] news 2014-06-17
    건협, 일일 평균 15만664원으로 공표 올해 상반기 건설노임 기준가 1.54% 인상 건협, 일일 평균 15만664원으로 공표 발주기관들이 올해 상반기 공사원가 계산 때 활용할 건설근로자의 평균 임금이 전반기(작년 1월 기준 공표액)보다 1.54% 올랐다. 대한건설협회는 작년 9월말 기준의 117개 건설업종의 일평균 임금이 15만664원이라고 공표했다. 1999년 이후 가장 낮은 1.3%의 작년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고려하면 반기 만에 상회했지만 가장 많이 투입되는 15개 주요 직종 근로자의 임금 평균 상승폭이 0.12%에 머물러 올해도 건설근로자의 임금 상승을 기대하긴 힘든 처지다....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올해 상반기 건설노임 기준가 1.54% 인상 [ 일간건설  2014-01-02 ] bbs02 2014-06-17
    건협, 일일 평균 15만664원으로 공표 올해 상반기 건설노임 기준가 1.54% 인상 건협, 일일 평균 15만664원으로 공표 발주기관들이 올해 상반기 공사원가 계산 때 활용할 건설근로자의 평균 임금이 전반기(작년 1월 기준 공표액)보다 1.54% 올랐다. 대한건설협회는 작년 9월말 기준의 117개 건설업종의 일평균 임금이 15만664원이라고 공표했다. 1999년 이후 가장 낮은 1.3%의 작년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고려하면 반기 만에 상회했지만 가장 많이 투입되는 15개 주요 직종 근로자의 임금 평균 상승폭이 0.12%에 머물러 올해도 건설근로자의 임금 상승을 기대하긴 힘든 처지다....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