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양근대건축사]파시스트의 집(Casa del Fascio,1932-1936), 쥬세페 테라니(Giuseppe Terragni, 1904-1943)
news
2014-10-06
건축은 정치의 시녀인가 ?독일의 알베르트 슈페어(Albert Speer, 1905-1981)는 히틀러의 욕망을 충실히 드러내준 건축사다. 그는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제국의 꿈을 아주 기가 막히게 현실화했다. <그림1> 르 꼬르뷔지에도 참가했던 소비에트 궁전 현상에서 스탈린은 우크라이나 출신 젊은 건축사 보리스 이오판(Boris Iofan, 1891-1976)을 선택했는데, 그의 이상을 군소리 없이 아주 잘 만들어줄 건축사라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이오판은 현상에 당선된 이후 스탈린의 꿈을 위해 문화재인 구세주 성당철거에 앞장서기까지 했다. <그림2> 이번 호의 주인공인...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서양근대건축사]파시스트의 집(Casa del Fascio,1932-1936), 쥬세페 테라니(Giuseppe Terragni, 1904-1943)
bbs02
2014-10-06
건축은 정치의 시녀인가 ?독일의 알베르트 슈페어(Albert Speer, 1905-1981)는 히틀러의 욕망을 충실히 드러내준 건축사다. 그는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제국의 꿈을 아주 기가 막히게 현실화했다. <그림1> 르 꼬르뷔지에도 참가했던 소비에트 궁전 현상에서 스탈린은 우크라이나 출신 젊은 건축사 보리스 이오판(Boris Iofan, 1891-1976)을 선택했는데, 그의 이상을 군소리 없이 아주 잘 만들어줄 건축사라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이오판은 현상에 당선된 이후 스탈린의 꿈을 위해 문화재인 구세주 성당철거에 앞장서기까지 했다. <그림2> 이번 호의 주인공인...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서양근대건축사]얀 다이커(Jan Duiker, 1890-1935)와 베르나르드 베이푸트(Bernard Bijvoet, 1889-1979)
news
2014-10-02
근대주의건축에 가장 잘 맞았던 프로그램조네스트랄 결핵요양원(Jonnestraal Saanatorium, 1926)기하학적 명징함, 흰색으로 마감된 순수한 덩어리, 중력이 사라진 듯한 날렵하고 가벼운 벽체와 바닥, 이로 인한 투명성 그리고 밝은 실내. 이것들은 근대주의건축(Modernism in architecture)하면 떠오르는 일반적인 이미지다. 이 이미지는 17세기 이후로 서구 지적 흐름의 전면에 등장했던, 이성이 추구하고자 했던 불확실성 종식의 가시적 결과일 텐데, 2세기가 지나서야 뒤늦게 시각적으로 드러난 것을 보면 인류가 행하는 모든 지적 활동을 예술로 봤을 때 헤겔이 주장한 바...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서양근대건축사]얀 다이커(Jan Duiker, 1890-1935)와 베르나르드 베이푸트(Bernard Bijvoet, 1889-1979)
bbs02
2014-10-02
근대주의건축에 가장 잘 맞았던 프로그램조네스트랄 결핵요양원(Jonnestraal Saanatorium, 1926)기하학적 명징함, 흰색으로 마감된 순수한 덩어리, 중력이 사라진 듯한 날렵하고 가벼운 벽체와 바닥, 이로 인한 투명성 그리고 밝은 실내. 이것들은 근대주의건축(Modernism in architecture)하면 떠오르는 일반적인 이미지다. 이 이미지는 17세기 이후로 서구 지적 흐름의 전면에 등장했던, 이성이 추구하고자 했던 불확실성 종식의 가시적 결과일 텐데, 2세기가 지나서야 뒤늦게 시각적으로 드러난 것을 보면 인류가 행하는 모든 지적 활동을 예술로 봤을 때 헤겔이 주장한 바...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건축사가 가지는 스마트콘에 관한 오해 세가지
notice
2014-10-01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