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9(일)
  • 서울  23℃
  • 인천  20℃
  • 대전  24℃
  • 광주  23℃
  • 대구  23℃
  • 울산  22℃
  • 부산  21℃
  • 제주  19℃

커뮤니티

  • [헤드라인] 국토부, 건축물 안전관리 기준 대폭 강화 bbs02 2014-08-07
    국토부가 건축물 등 안전관리 기준을 크게 강화한다.국토부는 공작물의 안전 설치 및 마우나 리조트 참사 재발 방지를 위한 안전강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건축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일부개정안을 지난 15일부터 입법예고했다. 이에 따라 이르면 10월부터 일정 높이의 공작물은 건축구조기술사가 구조안전검토를 해야 하며, 기둥과 기둥 사이가20m 이상인 특수구조물은 구조심의 제도를 시행하는 등 ‘건축물의 안전강화 대책(’14.4.2)’이 본격 시행된다.주요 개정내용은 △일정규모의 공작물 설치 시 구조안전검토 절차 신설 △건축물의 외...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계륵] 우리 건축의 미래, 함께 지어야 column 2014-08-07
    건축경기 불황은 이미 하루, 이틀 이야기가 아니다. 장기화된 건축경기 불황의 그늘 속에 체감경기도 이미 바닥을 친 상태다. 2012년, 당시 건축시장은 2011년에 비해 소폭의 상승 조짐은 있었지만 전반적인 경기 불황은 여전히 지속됐다. 그리고 지난 10일 발표된 국토부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2013년 건축허가면적은 전년 대비 11.6% 감소했다. 좀처럼 회복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 가운데 많은 이들이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과는 무관하게도 매년 건축사시험 합격자들은 배출되고 있고, 전국의 건축 관련학과를 통해 수 만 명의 졸업생과 신입생들이 건축의 세...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계륵] 우리 건축의 미래, 함께 지어야 bbs03 2014-08-07
    건축경기 불황은 이미 하루, 이틀 이야기가 아니다. 장기화된 건축경기 불황의 그늘 속에 체감경기도 이미 바닥을 친 상태다. 2012년, 당시 건축시장은 2011년에 비해 소폭의 상승 조짐은 있었지만 전반적인 경기 불황은 여전히 지속됐다. 그리고 지난 10일 발표된 국토부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2013년 건축허가면적은 전년 대비 11.6% 감소했다. 좀처럼 회복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 가운데 많은 이들이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과는 무관하게도 매년 건축사시험 합격자들은 배출되고 있고, 전국의 건축 관련학과를 통해 수 만 명의 졸업생과 신입생들이 건축의 세...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사설] 지자체 임의규제 예방할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column 2014-08-07
     세월호 참사 이후 건설경제신문이 건설공사와 관련해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구조적 문제점을 적나라하게 파헤치면서 범국민적 관심과 더불어 건축계에 대리만족을 선사하고 있다.“바꾸자! 잘못된 관행”을 슬로건으로 내건 이 기획연재에 따르면 속칭 ‘교피아’<교육청 마피아>로 인한 폐해가 오랜 관행으로 고착화되어 안전의 사각지대로 방치되고 있다는 것이다.문제의 근원은 학교시설의 건설이 건축법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감독청의 승인 또는 신고로 써 건축법상 인허가에 갈음토록 한 학교시설사업촉진법의 적용을 받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다중이...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사설] 지자체 임의규제 예방할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bbs03 2014-08-07
     세월호 참사 이후 건설경제신문이 건설공사와 관련해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구조적 문제점을 적나라하게 파헤치면서 범국민적 관심과 더불어 건축계에 대리만족을 선사하고 있다.“바꾸자! 잘못된 관행”을 슬로건으로 내건 이 기획연재에 따르면 속칭 ‘교피아’<교육청 마피아>로 인한 폐해가 오랜 관행으로 고착화되어 안전의 사각지대로 방치되고 있다는 것이다.문제의 근원은 학교시설의 건설이 건축법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감독청의 승인 또는 신고로 써 건축법상 인허가에 갈음토록 한 학교시설사업촉진법의 적용을 받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다중이...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