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0(월)
  • 서울  23℃
  • 인천  20℃
  • 대전  24℃
  • 광주  23℃
  • 대구  23℃
  • 울산  22℃
  • 부산  21℃
  • 제주  19℃

커뮤니티

  • 삼우·희림·정림‘글로벌 225대 건설디자인기업’으로 선정 news 2014-09-26
      세계적인 건설·엔지니어링 전문지인 ‘ENR(Engineering NewsRecord)’가 지난 7월 28일 발표한 ‘글로벌 225대 건설디자인 기업(The Top 225 InternationalDesign Firms)’에 국내 건축사사무소 3곳이 포함됐다.ENR 자료에 따르면,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는 119위, (주)희림 종합건축사사무소는 149위,(주)정림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는 199위를 차지했다. 특히 희림과 정림의 약진이 눈에 띄었다. 희림은 지난 197위에서 48단계나 상승했으며, 정림은 지난해 순위에 들지 못했다가 올 해 처음으로 순위에 등극했다.이밖에 한국기업 중에는 현대엔지니어링(33위), 한국전력...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삼우·희림·정림‘글로벌 225대 건설디자인기업’으로 선정 bbs02 2014-09-26
      세계적인 건설·엔지니어링 전문지인 ‘ENR(Engineering NewsRecord)’가 지난 7월 28일 발표한 ‘글로벌 225대 건설디자인 기업(The Top 225 InternationalDesign Firms)’에 국내 건축사사무소 3곳이 포함됐다.ENR 자료에 따르면,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는 119위, (주)희림 종합건축사사무소는 149위,(주)정림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는 199위를 차지했다. 특히 희림과 정림의 약진이 눈에 띄었다. 희림은 지난 197위에서 48단계나 상승했으며, 정림은 지난해 순위에 들지 못했다가 올 해 처음으로 순위에 등극했다.이밖에 한국기업 중에는 현대엔지니어링(33위), 한국전력...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서양 근대건축사 산책]‘순수주의 미학과 현실의 간극’ 르 코르뷔제의 사보아 저택 (1928~31) news 2014-09-25
    유럽 근대건축운동의 가장 대표적인 아이콘으로 르 코르뷔제(1887~1965)의 사보아저택(Villa Savoye, 1928~31)을 꼽는 데에는 큰 이견이 없을 듯하다. 동시대 다른 거장들의 작품과 비교해도 그 연유를 가늠할 만하다. 발터 그로피우스의 바우하우스 신교사(1925~26; 본 연재물 12회 참조, 2013. 5)는 진보적 교육기관으로서의 명성에 힘입어 그 국제주의적 건축의 가치에 시너지를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 건물은 사보아 저택이 내포하는 시적 감수성의 측면에는 꽤 초연했다고 하겠다. 미스 반 데어 로에의 바르셀로나 파빌리온(1928~29)은 공간과 재료, 그리고 미니멀리즘의 미...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서양 근대건축사 산책]‘순수주의 미학과 현실의 간극’ 르 코르뷔제의 사보아 저택 (1928~31) bbs02 2014-09-25
    유럽 근대건축운동의 가장 대표적인 아이콘으로 르 코르뷔제(1887~1965)의 사보아저택(Villa Savoye, 1928~31)을 꼽는 데에는 큰 이견이 없을 듯하다. 동시대 다른 거장들의 작품과 비교해도 그 연유를 가늠할 만하다. 발터 그로피우스의 바우하우스 신교사(1925~26; 본 연재물 12회 참조, 2013. 5)는 진보적 교육기관으로서의 명성에 힘입어 그 국제주의적 건축의 가치에 시너지를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 건물은 사보아 저택이 내포하는 시적 감수성의 측면에는 꽤 초연했다고 하겠다. 미스 반 데어 로에의 바르셀로나 파빌리온(1928~29)은 공간과 재료, 그리고 미니멀리즘의 미...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서양 근대건축사 산책]표현주의 건축(Expressionist Architecture in Germany) 문화로 사회를 통합하다 news 2014-09-24
     최근에 필자가 아는 젊은 건축사가 지방의 작은 현상공모에 응모를 했다. 신진 건축사들에게만 응모 자격을 주는 공모전인데 최종 접수인원만 70여 명이 넘었다는 소식을 들었다.그나마 체급에 제한을 두어서 헤비급(88.45kg초과)의 참가를 막았지만 작은 공모전에 미니멈급(47.63kg이하)이 그렇게 모였다는 것은 정말로 건축경기가 거의 바닥을 치고 있거나, 나름 홍보 전략에 성공한 건축사에게만 일이 몰리는 빈익빈 부익부현상일라고 봐도 될 것 같다.실력과 열정을 떠나 절대적으로 일이 부족한 상황에서 건축사들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경제, 정치적 상황은 다르지만 90여 년...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