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명대 BIM건축사업단, '지역기업체 BIM프로젝트연계지원프로그램' 성료
bbs77
2018-09-05
동명대(총장 정홍섭) 지방대학특성화(CK-I)사업단 중 BIM건축사업단(단장 임남기)은 ‘지역기업체 BIM프로젝트 연계지원 프로그램’에 재학생 37여 명이 참여했다고 5일 밝혔다.이번 프로그램은 BIM건축사업단 재학생들이 부산지역 건축 관련 기업에서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으로 ㈜동원개발을 포함한 14개 업체에 37명의 학생이 참가했다.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용인시, 비회원 건축사 차별 시정 요구
bbs77
2018-09-05
용인시는 준공신청 건축물 검사·확인 업무를 대행하는 건축사 선정 등과 관련해 관내 건축주와 건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불합리한 점이 확인돼 용인지역건축사회 등에 시정을 요구했다고 5일 밝혔다.이는 건축법령 및 조례에 따라 시와 협약을 체결하고 준공신청 건축물의 검사‧확인 업무를 대행할 건축사(업무대행자)를 선정하는 용인지역건축사회나 소속 건축사들이 비회원을 차별하고 있다는 등의 불만이 제기된데 따른 것이다.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건축이야기] 종이 값?
bbs77
2018-09-05
건축사들은 건축물을 설계해 주고 설계비를 받아 사무실을 운영한다. 그런데 이 설계비라는 것이 말도 많고 탈도 많다. 얼마를 받아야 적정한 것일까. 참 답하기 어려운 질문이다. 정량화해 기준 잡기도 어렵고 상대적이기 때문이다. 민간 건물의 설계비는 정부나 건축사협회에서 권장하는 산출 방식들은 있지만 자율 시장경제에서 지켜지긴 쉽지 않다. 건축사들이 능력껏 받는 수밖에 없는 것이다. 언젠가 설계비를 '종이 값' 이라고 표현하는 건축업자의 말을 듣고 허탈했던 적이 있다.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칼럼] [기획] 건축사는 ‘봉’이 아니다
bbs03
2018-09-04
건축사가 살아야 도시도 행복할 수 있다 (2) 김정관 건축사 l 도반 건축사사무소 ※ 본 이미지는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이미지이며, 뉴스 내용과 무관합니다. ‘團生散死,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라는 이 말은 이순신 장군께서 명량해전을 앞두고 하신 말씀이다. 지금 우리나라에 힘들지 않은 분야가 있을까마는 우리 건축사는 국가자격 전문인으로서의 정체성마저 위협받고 있다. 많은 건축사가 직원을 두고 사무소를 유지하기도 어려울 정도로 건축사라는 직업 자체의 존폐를 고민하는 처지에서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
-
[계륵] BF인증의 양면성
bbs03
2018-09-04
※ 본 이미지는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이미지이며, 뉴스 내용과 무관합니다. 건축물은 누구에게나 이용이 편리해야 한다. ‘누구나 이용가능 한’ 디자인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2008년 하반기부터 시행되고 있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Free, 이하 ‘BF’) 인증제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BF인증’이란 장애인·노인·임산부뿐만 아니라 일시적 장애인 등이 개별 시설물·지역을 접근·이용·이동함에 있어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계획·설계·시공·관리 여부를 공신력 있는 기관이 평가하여 인증하는 제도이다. 2015년에...
답변수 0 | 추천수 0 | 조회수 0